switch ( 변수 ){ case A: // 값 A // 변수 값이 A 일때 실행할 명령문 break; case B: // 변수 값이 B 일때 실행할 명령문 break; case C: // 변수 값이 C 일때 실행할 명령문 break; default: // 모든 CASE에 부합하지 않을때 실행할 명령문 break; }
- case 뒤에는 해당하는 조건이 오며, 그 아래에 실행할 명령문을 적는다. - default는 if...else 조건문에서의 else와 같이 모든 조건에 해당 안 될 때 실행된다. ex)
var num = 3;
switch(num % 2) {
case0:
alert("해당 값은 짝수!");
break;
case1:
alert("해당 값은 홀수!");
break;
default:
alert("잘못된 입력 값!");
break;
}
3. 삼항 연산자
- 간단한 if문이나 switch문들은 간결하게 바꾸어 삼항연산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ex1)
var num = 3;
(num > 0) ? console.log('양수!') : console.log('음수!');
ex2)
var num = 3var result = num > 0 ? "양수" : "홀수";
console.log(result); // 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