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Database/Oracle 기본
-
[Oracle] 오라클 Lock(1) enq: TX - row lock contention 안녕하세요. 갓대희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 [Oracle] Lock 첫번째 TX - row lock contention ] 입니다. : ) - 오라클 모니터링을 하다보면 Active 세션 중 다음과 같은 락발생 현황을 종종 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을 알아 보도록 하자. 0.Oracle Lock - 사실 오라클 락은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이번엔 간단히 자주 볼수있는 Lock의 종류중 하나인 TX Lock에 대해 알아 보려 한다. TX Lock과 관련된 내용을 천천히 알아보자. 1) Enqueue Lock - 테이블, 트랜젝션, 테이블스페이스, 시퀀스, Temp 세그먼트 등의 공유 리소스에 대한 액세..
[Oracle] 오라클 Lock(1) enq: TX - row lock contention[Oracle] 오라클 Lock(1) enq: TX - row lock contention 안녕하세요. 갓대희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 [Oracle] Lock 첫번째 TX - row lock contention ] 입니다. : ) - 오라클 모니터링을 하다보면 Active 세션 중 다음과 같은 락발생 현황을 종종 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을 알아 보도록 하자. 0.Oracle Lock - 사실 오라클 락은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이번엔 간단히 자주 볼수있는 Lock의 종류중 하나인 TX Lock에 대해 알아 보려 한다. TX Lock과 관련된 내용을 천천히 알아보자. 1) Enqueue Lock - 테이블, 트랜젝션, 테이블스페이스, 시퀀스, Temp 세그먼트 등의 공유 리소스에 대한 액세..
2020.08.31 -
[Oracle] PL/SQL 기초9 - 예외처리(Exception) 안녕하세요. 갓대희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 [Oracle] PL/SQL 기초 - 예외처리(Exception) ] 입니다. : ) 0.Oracle PL/SQL 예외 처리 (Exception Handling) 1) 컴파일 에러(Compilation Error) - PL/SQL 블록을 Parsing, 컴파일 하는동안 문법적인 오류로 발생 하는 동안 발생하는 에러 2) 런타임 에러 (Run-Time Error) - PL/SQL 블록을 실행하는 도중 발생하는 에러, 이를 Exception이라고 한다. - 즉 오라클에서는 런타임 에러를 예외(Exception)라고 부른다. 이 예외 처리에 대해 오늘은 정리해 보려고 한다. - 일반적인 SQL에서..
[Oracle] PL/SQL 기초9 - 예외처리(Exception)[Oracle] PL/SQL 기초9 - 예외처리(Exception) 안녕하세요. 갓대희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 [Oracle] PL/SQL 기초 - 예외처리(Exception) ] 입니다. : ) 0.Oracle PL/SQL 예외 처리 (Exception Handling) 1) 컴파일 에러(Compilation Error) - PL/SQL 블록을 Parsing, 컴파일 하는동안 문법적인 오류로 발생 하는 동안 발생하는 에러 2) 런타임 에러 (Run-Time Error) - PL/SQL 블록을 실행하는 도중 발생하는 에러, 이를 Exception이라고 한다. - 즉 오라클에서는 런타임 에러를 예외(Exception)라고 부른다. 이 예외 처리에 대해 오늘은 정리해 보려고 한다. - 일반적인 SQL에서..
2020.08.02 -
[Oracle] PL/SQL 기초8 - 레코드(RECORD) 안녕하세요. 갓대희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 [Oracle] PL/SQL 기초 - 레코드(Record) ] 입니다. : ) 혹시 이해가 안되는 내용이 많을 수 있으니, 하단의 예제부터 보는것도 추천 한다. 0.Oracle Record ▶ 0. 레코드(Record)란? - PL/SQL에서 제공하는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 타입 이다. - 여러개의 데이터 타입을 갖는 변수들의 집합.(일반 빌트인 타입으로 변수 선언시 1개의 값만 가질 수 있다.) - 논리적 단위로서 필드 집합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스칼라(%type/%rowtype), RECORD, 또는 PL/SQL TABLE datatype 중 하나 이상의 요소로 구성 - PL/SQL 테..
[Oracle] PL/SQL 기초8 - 레코드(RECORD)[Oracle] PL/SQL 기초8 - 레코드(RECORD) 안녕하세요. 갓대희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 [Oracle] PL/SQL 기초 - 레코드(Record) ] 입니다. : ) 혹시 이해가 안되는 내용이 많을 수 있으니, 하단의 예제부터 보는것도 추천 한다. 0.Oracle Record ▶ 0. 레코드(Record)란? - PL/SQL에서 제공하는 테이블 형태의 데이터 타입 이다. - 여러개의 데이터 타입을 갖는 변수들의 집합.(일반 빌트인 타입으로 변수 선언시 1개의 값만 가질 수 있다.) - 논리적 단위로서 필드 집합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스칼라(%type/%rowtype), RECORD, 또는 PL/SQL TABLE datatype 중 하나 이상의 요소로 구성 - PL/SQL 테..
2020.07.25 -
[Oracle] PL/SQL 기초7 - 컬렉션(Collection) : VARRAY, Nested Table, 연관 배열, 메소드 등 안녕하세요. 갓대희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 [Oracle] PL/SQL 기초 - 컬렉션(Collection) ] 입니다. : ) 혹시 이해가 안되는 내용이 많을 수 있으니, 하단의 예제부터 보는것도 추천 한다. 0.Oracle Collection ▶ 0. 컬렉션(Collection)이란? - 배열 형태의 데이터 타입 - 같은 데이터 타입을 가진 요소들로 구성 된다. -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가질 수 있는 동시에, 여러 로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가질 수 있는 자료형 - 생성자를 이용해 초기화가 가능 하다. - 빌트인 함수와 프로시저로 구성된 컬렉션 메소드를 제공 한다. ..
[Oracle] PL/SQL 기초7 - 컬렉션(Collection) : VARRAY, Nested Table, 연관 배열, 메소드 등[Oracle] PL/SQL 기초7 - 컬렉션(Collection) : VARRAY, Nested Table, 연관 배열, 메소드 등 안녕하세요. 갓대희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 [Oracle] PL/SQL 기초 - 컬렉션(Collection) ] 입니다. : ) 혹시 이해가 안되는 내용이 많을 수 있으니, 하단의 예제부터 보는것도 추천 한다. 0.Oracle Collection ▶ 0. 컬렉션(Collection)이란? - 배열 형태의 데이터 타입 - 같은 데이터 타입을 가진 요소들로 구성 된다. -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가질 수 있는 동시에, 여러 로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가질 수 있는 자료형 - 생성자를 이용해 초기화가 가능 하다. - 빌트인 함수와 프로시저로 구성된 컬렉션 메소드를 제공 한다. ..
2020.07.25 -
[Oracle] PL/SQL 기초6 - 함수(Function) 두번째 : 테이블 함수(Table Function, Pipeline Table Function) 안녕하세요. 갓대희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 [Oracle] PL/SQL 기초 - 함수(2) - 테이블 함수 ] 입니다. : ) 0.Oracle Table Function ▶ 1. Table 함수란? - 여러 로우를 가진 컬렉션을 반환하는 함수 (컬렉션 타입을 반환하는데, 연관 배열은 반환하지 못하고, 중첩 테이블이나 VARRAY만 반환 가능하다.) - 기본 함수는 하나의 값만 반환이 가능하지만 테이블 함수로는 여러 행, 열의 반환이 가능 하다. (Oracle Table Function은 Multi column + Multi Row로 값을 Ret..
[Oracle] PL/SQL 기초6 - 함수(Function) 두번째 : 테이블 함수(Table Function, Pipeline Table Function)[Oracle] PL/SQL 기초6 - 함수(Function) 두번째 : 테이블 함수(Table Function, Pipeline Table Function) 안녕하세요. 갓대희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 [Oracle] PL/SQL 기초 - 함수(2) - 테이블 함수 ] 입니다. : ) 0.Oracle Table Function ▶ 1. Table 함수란? - 여러 로우를 가진 컬렉션을 반환하는 함수 (컬렉션 타입을 반환하는데, 연관 배열은 반환하지 못하고, 중첩 테이블이나 VARRAY만 반환 가능하다.) - 기본 함수는 하나의 값만 반환이 가능하지만 테이블 함수로는 여러 행, 열의 반환이 가능 하다. (Oracle Table Function은 Multi column + Multi Row로 값을 Ret..
2020.07.24 -
[Oracle] PL/SQL 기초5 - 함수(Function) 첫번째 : 사용자 정의 함수(User Defined Function) 안녕하세요. 갓대희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 [Oracle] PL/SQL 기초 - 함수(1) - 사용자 정의 함수 ] 입니다. : ) 0.Oracle Function ▶ 1. 함수(Function)란? - 이번에 설명하는 함수는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내장함수(TO_CHAR, TO_DATE 등)가 아닌 사용자 정의 함수((User Defined Function)이다. - 특정 기능들을 모듈화, 재사용 할 수 있어서 복잡한 쿼리문을 간결하게 만들수 있다. 하지만, 함수 사용이 쿼리 속도를 느리게 만드는 원인(인덱스를 타지 않는 등)이 될 수 있으니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권..
[Oracle] PL/SQL 기초5 - 함수(Function) 첫번째 : 사용자 정의 함수(User Defined Function)[Oracle] PL/SQL 기초5 - 함수(Function) 첫번째 : 사용자 정의 함수(User Defined Function) 안녕하세요. 갓대희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 [Oracle] PL/SQL 기초 - 함수(1) - 사용자 정의 함수 ] 입니다. : ) 0.Oracle Function ▶ 1. 함수(Function)란? - 이번에 설명하는 함수는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내장함수(TO_CHAR, TO_DATE 등)가 아닌 사용자 정의 함수((User Defined Function)이다. - 특정 기능들을 모듈화, 재사용 할 수 있어서 복잡한 쿼리문을 간결하게 만들수 있다. 하지만, 함수 사용이 쿼리 속도를 느리게 만드는 원인(인덱스를 타지 않는 등)이 될 수 있으니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권..
20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