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well as REST web services, you can also use Spring MVC to serve dynamic HTML content. Spring MVC supports a variety of templating technologies, including Thymeleaf, FreeMarker, and JSPs. Also, many other templating engines include their own Spring MVC integrations.
Spring Boot includes auto-configuration support for the following templating engines: FreeMarker, Groovy, Thymeleaf, Mustache
If possible, JSPs should be avoided. There are several known limitations when using them with embedded servlet containers.
7.4.5. JSP Limitations When running a Spring Boot application that uses an embedded servlet container (and is packaged as an executable archive),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e JSP support.
With Jetty and Tomcat, it should work if you use war packaging. An executable war will work when launched with java -jar, and will also be deployable to any standard container. JSPs are not supported when using an executable jar. Undertow does not support JSPs. Creating a custom error.jsp page does not override the default view for error handling. Custom error pages should be used instead.
※ 앞서 포스팅에서 기본 프로젝트 구조를 잡았을 것이다 src > main > reousrce > [static] 폴더엔 정적 리소스들을 추가하였을 것이다. src > main > reousrce > [templates]폴더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인데 Thymeleaf(.html), Velocity(.vm)등과 관련된 파일만 동작하고 jsp 파일은 추가하여도 작동하지 않으니 참고 하자.
※ 폴더 구조
src └─ main └─ resource └─ templates (View: Thymeleaf, Groovy, Velocity 등) └─ static (정적 컨텐츠 : html, css, js, image 등)
▶ 내장 Tomcat
- 스프링부트는 웹 개발을 위해 자주 사용되는 Spring의 Component들과 Tomcat, Jetty 등의 경량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합한 경량의 웹개발 프레임 워크이다.
- 즉 별도의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없이 SpringBoot를 통해 프레임워크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합했다고 생각하면 된다.
앞서 포스팅에서 다음 디펜던시(spring-boot-starter-web)를 추가 하였을 것이다.
※ Spring 애플리케이션 시작시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 정의된 내용을 로드한다. (스프링부트의 AutoConfiguration을 통해 자동 설정한 속성값들이 존재하며, application.properties의 해당 값들은 오버라이드 한다.)
▶ server.port
-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으면 default 포트는 8080이다. - Spring Boot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있는 Tomcat과 Jetty와 같은 WAS의 포트번호를 임의로 변경 할 수 있다.
server.port = 8888
▶ prefix/suffix
- jsp 페이지를 처리하기 위한 prefix와 suffix를 application.properties에 추가 하자. - 앞서 생성한 JSP 경로를 prefix로 선언, 그리고 확장자럴 suffix로 선언할 수 있다.
- jstl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springBoot 버전과 디펜던시 점검을 해보자.
▶ Case1
The absolute uri: [http://java.sun.com/jsp/jstl/core] cannot be resolved in either web.xml or the jar files deployed with this application
org.apache.jasper.JasperException: The absolute uri: [http://java.sun.com/jsp/jstl/core] cannot be resolved in either web.xml or the jar files deployed with this application
#JSP와 같이 사용할 경우 뷰 구분을 위해 컨트롤러가 뷰 이름을 반환할때 thymeleaf/ 로 시작하면 타임리프로 처리하도록 view-names 지정
spring.thymeleaf.view-names=thymeleaf/*
spring.thymeleaf.prefix=classpath:/templates/
spring.thymeleaf.suffix=.html
#thymeleaf를 사용하다 수정 사항이 생길 때 수정을 하면 재시작을 해줘야 한다. 이를 무시하고 브라우저 새로고침시 수정사항 반영을 취해 cache=false 설정(운영시는 true)
spring.thymeleaf.cache=false
spring.thymeleaf.check-template-location=true
▶Vo 설정
package com.god.bo.test.vo;
public class TestVo {
private Long mbrNo;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name;
public TestVo() {
}
public TestVo(String id, String name) {
this.id = id;
this.name = name;
}
public Long getMbrNo() {
return mbrNo;
}
public void setMbrNo(Long mbrNo) {
this.mbrNo = mbrNo;
}
public Stri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Stri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