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7] Jenkins 설치
안녕하세요. 갓대희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Jenkins 설치] 입니다. :)
▶ Jenkins
- CI 툴의 일종
- 젠킨스(Jenkins)는 허드슨의 주요 개발자가 나와서 만든 프로젝트.
- 오픈소스 CI 솔루션 가운데 압도적인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사용자 및 플러그인 개발자가 많아서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며, 관련자료도 많은 편이다. 최근에는 오픈소스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인 오픈스택의 CI 솔루션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 jenkins 설치파일 다운로드 및 설치 첫번째 방법 (비권장)
# wget -O /etc/yum.repos.d/jenkins.repo http://pkg.jenkins-ci.org/redhat/jenkins.repo # rpm --import https://jenkins-ci.org/redhat/jenkins-ci.org.key # yum install jenkins
|
▶ 두번째 방법 (안정버전 / 권장) - Jenkins stable 버전 설치파일 다운로드 및 설치
# wget -O /etc/yum.repos.d/jenkins.repo http://pkg.jenkins-ci.org/redhat-stable/jenkins.repo # rpm --import https://jenkins-ci.org/redhat/jenkins-ci.org.key # yum install jenkins
|
▶ 세번째 방법 - 위 방법으로 설치가 안될때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
위 사이트에서 stable 버전 중에서가장 최신 버전의 링크주소를 복사하여
yum -y install [링크주소] 로 설치한다.
# yum -y install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2.89.3-1.1.noarch.rpm
|
위의 방법으로 설치 완료 한 후 설치 확인
기본 디렉토리 : /var/lib/jenkins
▶ 포트 변경
8080이 기본 포트로 설정되는데 포트를 변경하여 준다. 9090으로 많이 하는데 왜인지 잘 안되어 9100으로 설정하였다.
# vi /etc/sysconfig/jenkins
|
JENKINS_PORT="8080"
변경 => JENKINS_PORT="9100"
▶ 방화벽 설정
# firewall-cmd --list-ports 21/tcp 8080/tcp 80/tcp 8005/tcp 8009/tcp 8443/tcp 8105/tcp 8109tcp 8180/tcp 8081/tcp
#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9100/tcp --permanent # firewall-cmd --zone=public --add-service=http --permanent # firewall-cmd --reload success
|
▶ Jenkins 서비스 시작
# /etc/init.d/jenkins start
|
여기서 진행하다 보니 오류가 발생.
systemctl 로 상태 확인해보니
/usr/local/java : Is a ~~ 오류
결국 java경로를 못찾는 오류

다음과 같이 해결 하여 준다.
/etc/init.d/jenkins 파일을 수정
그림과 같이 해당라인에 자바 경로를 추가하여 준다.
- java 경로 확인 방법
# which java /usr/local/java/bin/java
|
즉 다음경로 (candidates) 밑에 /usr/local/java/bin/java 를 추가 하여 준다.

다시 시작
# service jenkins start
자동실행 설정
# chkconfig jenkins on
프로세스 확인
# ps -ef | grep Jenkins
▶ Jenkins 관리자 페이지 설정
브라우저에서 http://ip:9100 을 입력해서 아래 페이지가 뜨면 기본 설치완료.
초기비밀번호는
/var/lib/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에 있다고 안내가 나온다.
해당 파일을 열어보자
출력된 초기비밀번호를 입력해서 로그인 한다.
그럼 다음과 같은 화면이 노출된다.

Install suggested plugins 를 클릭하여 기본 플러그인들을 설치 하여 준다.

설치가 완료되면 계정 설정을 하여 준다.

계정설정을 완료하면 다음과 같은 jenkins 기본 화면 노출. 기본설치는 끝!

추가 플러그인을 설치하려면 다음과 같이 설치 가능!


자세한 사용법은 다음에 포스팅.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