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300x250
AI/IDE 상황실

Google Antigravity(안티그래비티) 리뷰 - 브라우저 통합, Agent Manager, Gemini 3.0 등 활용법

  • -
728x90

안녕하세요! 갓대희입니다.
오늘은 2025년 11월 19일 새로 출시된 Google Antigravity 에 대해 알아 보려고 한다. 

 

 

Google Antigravity - Gemini 3 기반 AI IDE
Google DeepMind가 2025년 11월 18일 공개한 에이전트 중심의 AI 통합 개발 환경이다. VSCode를 기반으로 하며, Gemini 3 Pro를 포함한 다양한 AI 모델을 지원한다. Cursor의 강력한 대항마가 되지 않을까.. 개인적으론 기대가 된다.

IDE시장에서는 Cursor가 AI 코딩 도구 시장을 주도하던 상황이었다고 생각 한다.

( 물론 나의 경우 Kiro, Windsur등을 사요해보곤 하지만 대중적으로는 Cursor를 많이 쓰는 것 으로 보인다 )

 

이와중에 Google이 Gemini 3 발표와 함께 Antigravity를 공개했다. 출시 하루 만에 개발자 커뮤니티와 유튜브에서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데, 몇가지 보완점만 있다면 충분히 커서의 대항마가 될수 있지 않을까???.

 

이 글에서는 Antigravity가 무엇인지, 어떤 특징이 있는지, 그리고 Cursor와 어떻게 다른지 자세히 살펴보자.

 

시작전에 공식 문서를 필요하신 분들은 보면 더 좋을 것 같다.

자세한 내용 참고 : https://blog.google/intl/ko-kr/company-news/technology/gemini-3-developers/

공식영상도 보고 오는게 좋을 것 같다.

https://youtu.be/E-Sk9ypHVgI?si=taAsbReVrruRU8p7

 

 

Antigravity란?

Antigravity는 Gemini 3를 기반으로 하는 에이전트 개발 플랫폼으로, 에디터, 터미널, 브라우저를 넘나들며 작동하는 AI 에이전트를 제공한다. 에이전트 중심의 AI 기반 통합 개발 환경(IDE).

Visual Studio Code를 fork하여 만들어졌으며, 개발자가 복잡한 소프트웨어 작업을 자연어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Cursor 2.0이나 Warp와 유사한 멀티패널 에이전트 코딩 환경을 제공하며, ChatGPT 스타일의 프롬프트 창과 명령줄 인터페이스, 그리고 코딩 에이전트가 만든 변경 사항의 영향을 보여주는 브라우저 창을 결합한다.

 

조금만 보완 하면 Cursor도 때려잡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들었다.

Antigravity 주요 기능

  • 엔드투엔드 에이전트 워크플로우: 계획, 코딩, 실행 검증을 자동으로 수행
  • 브라우저 기반 컴퓨터 사용: Gemini 2.5 Computer Use 기능 통합
  • 작업 지향적 개발: 세부 구현보다 작업 목표에 집중
  • 멀티플랫폼 지원: Mac, Windows, Linux에서 모두 사용 가능
공식 정보
공식 웹사이트: https://antigravity.google/
현재 무료 프리뷰 단계로 macOS, Windows, Linux를 모두 지원한다.
https://antigravity.google/download

일단 바로 설치부터 해보자. 

 

설치 및 시작 가이드

Antigravity는 현재 무료 공개 프리뷰로 제공되며, Google Antigravity 웹사이트에서 MacOS, Windows, Linux용 클라이언트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 시스템 요구사항
  • 운영체제: macOS 12+, Windows 10+, Ubuntu 20.04+
  • 메모리: 8GB 이상 권장
  • 디스크: 2GB 이상 여유 공간
  • 브라우저: Chrome (브라우저 통합 기능 사용 시)

Antigravity 설치 및 시작하기

 

 - antigravity 사이트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하자.

https://antigravity.google/download

https://antigravity.google/
https://antigravity.google/download

 - 설치 (좌측 : Mac 환경, Widows는 .exe 파일을 받고 다음, 다음을 클릭하여 끝까지 넘어가면 된다.)

(좌) Mac / (우) Windows

 

 - 구동시의 심플한 화면

 - 기존 VS Code, 커서, 윈드설프 등의 환경을 그대로 가져올 수 있다.
( 개발을 처음 진행하시는 분들은 "Start fresh"를 통해 진행하면 된다. ) 

 

 - 본인 취향의 테마 선택

 

 - AI 에이전트에게 어느 정도의 자율성(Autonomy)과 권한을 부여할지 선택 하는 화면이다. 난 당연히 Recommended 방식으로 진행하겠지만, 기본적인 설명은 남겨 두려고 한다. 

1. 개발 모드 선택 (Development Modes) : 왼쪽 패널에서는 에이전트의 개입 수준을 선택합니다.
    1) Agent-driven development (에이전트 주도 개발)
    에이전트가 프로젝트의 주도권을 가집니다. 기획부터 구현까지 AI가 적극적으로 수행하며, 사용자는 감독자 역할에 가깝습니다.
    
    2) Agent-assisted development (에이전트 보조 개발) [선택됨/권장]
    의미: 사용자가 주도권을 쥐고, 에이전트는 강력한 조수(Copilot) 역할을 수행합니다.
    특징: 가장 균형 잡힌 모드로, 개발자가 방향을 잡으면 에이전트가 코드 작성, 리팩토링, 디버깅 등을 '지원'합니다.
    
    3) Review-driven development (리뷰 주도 개발)
    에이전트의 모든 행동에 대해 사용자의 승인을 거칩니다. 안전성은 높지만,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4) Custom configuration (사용자 정의)
    각 권한을 세부적으로 직접 설정합니다.
    
    
    2. 세부 실행 정책 (Execution Policies) : 선택한 모드에 따른 구체적인 행동 규칙을 보여줍니다.
    1) Terminal execution policy: Auto
    설명: 터미널 명령어(패키지 설치, 파일 실행 등)를 수행할 때, 에이전트가 **자동(Auto)**으로 실행하도록 허용합니다.
    장점: 개발 속도가 매우 빨라집니다. 매번 "이 명령어를 실행해도 될까요?"라고 묻지 않습니다.
    주의: rm -rf와 같은 위험한 명령어가 실행될 가능성이 미세하게나마 있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Review policy: Agent Decides
    설명: 언제 사용자에게 검토(Review)를 요청할지를 에이전트가 스스로 판단합니다.
    의미: 단순한 작업은 알아서 처리하고, 중요한 변경 사항이나 불확실한 부분에서만 "이거 확인해주세요"라고 요청하게 됩니다.
    
    3) Browser Allowlist Checkbox
    에이전트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정보를 검색하거나 접근할 때, 기본적으로 허용된 목록(Allowlist) 내에서만 작동하게 하여 보안을 유지합니다.

 

 - 에디터 설정 부분이다. 이것 또한 기본 설정으로 진행한다.

1. Keybindings (단축키 설정) : 에디터 내에서 사용할 키보드 입력 방식을 선택합니다.
    
    1) Normal [선택됨/권장]:
    일반적인 최신 에디터(VS Code, 메모장 등)와 동일한 단축키 방식을 사용합니다. 
    (예: 복사는 Cmd/Ctrl + C, 저장은 Cmd/Ctrl + S)
    특별히 Vim 사용자가 아니라면 Normal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2) Vim:
    리눅스/유닉스 환경의 Vim 에디터에 익숙한 개발자를 위한 모드입니다. 
    키보드만으로 커서 이동 및 편집이 가능하지만,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2. Extensions (확장 프로그램 설치)
    에이전트가 코드를 더 잘 이해하고 도와주기 위해 필요한 기본 도구들을 설치합니다.
    
    1) Install 7 Extensions [체크됨/필수]:
    의미: Python, JavaScript 등 주요 언어에 대한 구문 강조(Syntax Highlighting), 
    자동 완성, 린팅(Linting) 등을 지원하는 기본 확장팩을 설치합니다.
    
    중요성: 이 옵션은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설명에 나와 있듯이 "Language extensions are required for some Agent features"이기 때문입니다. 
    이 확장 프로그램들이 설치되어야 AI 에이전트가 작성 중인 코드의 문맥을 정확히 파악하고 오류를 잡아낼 수 있습니다.
    
    
    3. Command Line (터미널 도구 설치)
    터미널에서 바로 에디터를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를 설치합니다.
    
    1) Install (agy) [체크됨/권장]:
    기능: 터미널(Terminal)에서 agy라는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 시스템 경로(Path)에 추가합니다.
    활용 예시: 터미널에서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한 뒤 agy .을 입력하면, 
    해당 폴더를 프로젝트 루트로 하여 Antigravity 에디터가 바로 열립니다.
    장점: 마우스로 아이콘을 찾아 실행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VS Code의 code . 명령과 동일한 역할)

 

 

 - 마지막 인증까지 진행하면 완료 된다.

 

  - 커서, 키로 등과 같은 VS Fork 기반 에디터이다. (우측 하단 Gemini 3 Pro 모델이 보인다. ) 

 

 

주요 특징

Manager/Editor 듀얼 인터페이스

Antigravity의 가장 독특한 특징은 Agent ManagerEditor 두 가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구분 특징 사용 시나리오
1. Editor 동기 작업, 실시간 코드 편집 즉각적인 코드 수정, 디버깅
2. Agent Manager 비동기 작업, 여러 에이전트 병렬 관리 대규모 리팩토링, 다중 파일 수정

 

※ 이미 커서나, 키로 등을 사용해보신 분들은  [ 1. Editor 인터 페이스 ] 부분은 빠르게 눈으로 살펴봐주시면 좋을 것 같다. 

 

1. Editor 인터 페이스

설치 후 다음 화면과 같이 기본 화면이 펼쳐져 있다면 이 모습이 Editor 인터페이스이다.

Editor 모드는 대부분 개발자 분들에게 익숙할 것 이기도 하고, vscode, cursor, windsur등 같은 툴과 거의 유사하게 사용하면 되는거라서, 이번글에는 어울리지 않으니, 아주 간단히만 사용방법을 살펴보자.

 

Step 0: 기본 설정

1) 화면의 Open Folder 클릭 또는 , [ File > Open Folder ... 클릭 ] 

2) 사용할 프로젝트 폴더를 클릭 : 본인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거나, 기존에 개발중이던 프로젝트 Folder를 오픈 하자.


 - 처음 시작하는 프로젝트 경로인 경우 권한관련된 confirm창이 뜰 것 이다. 승인해 주자.

 

- 이런 식의 화면이 노출된다면 시작할 준비는 된 것 이다.

 

※ 작업 모드: Plan vs Fast

Agent창 우측 하단에 보면Planning이라고 되어 있을 것 이다.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에이전트 대화창에서 두 가지 작업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모드 설명 적합한 상황
Plan 계획을 먼저 수립 후 실행 복잡한 작업, 검토가 필요한 경우
Fast 바로 구현까지 진행 간단한 작업, 빠른 프로토타이핑
Plan 모드에서도 에이전트가 작업이 간단하다고 판단하면 'Proceed with Implementation' 상태로 전환되어 플래닝을 건너뛰고 바로 구현을 진행하기도 한다.

 

※ 모델 선택

구글의 Gemini 3 모델 이외에도 Claude Sonnet 4.5, GPT-OSS 120B 등 개발자들에게 익숙한 모델까지 사용 가능 하다.

 

Step 1: 프로젝트 생성

// Manager 모드에서 자연어로 요청
"Create a new React TypeScript project with Vite,
    include Tailwind CSS and React Router"

 - Plan 모드로 선택하고 진행 하자.

 - 그리고 Model은 당연히 Gemini 리뷰이니 Gemini 3 Pro 모델을 선택하였다.

ex) 계획을 수립하는 모습

 

ex) 도출된 계획을 살펴보자.

 - 간단하게 vite를 통해 react를 생성하는 기본적인 계획을 생성하였다.

 - Review를 클릭하면 해당 내용에 코멘트를 더할 수 있다.

 

ex) Review를 클릭하면 해당 내용에 코멘트를 더할 수 있다.

 - 다음과 같은 내용을 살짝 조언해보자.

1. 프로젝트 이름 규칙
    프로젝트 이름을 기본값 vite-react-app 대신 god-dae-hee-blog 으로 생성하자.
    예: npm create vite@latest god-dae-hee-blog -- --template react-ts
    
    2. 디렉터리 구조 정의
    src 하위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이 가져가면 어떨까?
    src/components – 재사용 가능한 프레젠테이셔널 컴포넌트
    src/pages – React Router 라우트에 대응하는 페이지 컴포넌트
    src/layouts – 공통 레이아웃 컴포넌트(헤더, 푸터 포함)
    src/routes – 라우트 정의용 파일(ex: src/routes/AppRoutes.tsx)
    src/hooks – 커스텀 hooks
    src/types – 공용 TypeScript 타입 정의
    src/lib – 유틸 함수 및 외부 API 래퍼
    
    3. 파일 네이밍 규칙
    React 컴포넌트 파일은 PascalCase를 사용 (예: UserProfileCard.tsx)
    hooks 파일은 use 접두사 + camelCase 사용 (예: useAuth.ts)
    CSS/Tailwind 전용 유틸 파일은 .ts 또는 확장자 사용

 - Submit을 제출하면 내 의견을 반영하여 계획을 수정한다. 

 ex) 변경된 결과를 확인하고 Proceed를 통해 진행하자.

  - 사용자의 승인을 받기 위해 대기 한다. Accept를 클릭하여 진행 한다. ( 자동으로 권한 Accept 규칙은 기존 cursor나 vsCode와 다르지 않을 것 같은데 이번 리뷰에서는 그냥 수동으로 진행하겠다. )

  - Antigravity가 자동으로 프로젝트 구조를 생성하고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한다. 계속 Accept를 클릭하여 진핸하자.

 - 계획에 맞춰 안티그래비티가 작업을 완료한것을 볼 수 있다.

 

Step 2: 컴포넌트 생성

 - 이부분은 그냥 이어서 해보실 분들을 위해 남겨 놓았다.

// 자연어로 컴포넌트 요청
"Create a responsive navbar component with
    - Logo on the left
    - Navigation links in the center
    - Dark mode toggle on the right
    - Mobile hamburger menu"

 

Step 3: 브라우저 통합(Chrome) 활용

Antigravity의 Chrome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LLM이 IDE뿐 아니라 브라우저 자체를 컨텍스트로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음 작업이 가능하다.

  • 웹 페이지 클릭, 스크롤, 키보드 입력 자동화
  • 브라우저 콘솔 로그 확인 및 디버깅
  • 스크린샷 및 화면 녹화
  • 웹 앱 UI 테스트 자동화

Chrome 확장 설치 방법

  1. Playground 또는 워크스페이스에서 웹 관련 작업 요청
  2. 에이전트가 브라우저 연동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Setup" 버튼 표시
  3. Setup 클릭 → Chrome 웹 스토어의 확장 프로그램 설치 페이지로 이동
  4. 확장 프로그램 설치 완료 후 Antigravity로 복귀
  5. 에이전트가 권한 요청 시 허용 클릭

 

사실 자연스럽게 브라우저가 필요한 상황이 오면, 알아서 설치 페이지 유도와, 설치가 가능하겠지만

혹시, 바로 확인해보고 싶다면..... 우측 상단의 "Open Browser" 버튼만 클릭해도 가능하다.  

다만 하기와 같이 자연스럽게 흐름에 따라 필요한 상황을 만ㄷ르어 보는것을 추천해본다. 

브라우저 서브에이전트 작동 방식

에이전트가 브라우저와 상호작용해야 할 때, 브라우저 서브에이전트가 호출된다. 이 서브에이전트는 열려 있는 페이지에서 작동하도록 특화된 모델을 실행한다.

  • 클릭, 스크롤, 타이핑 등 브라우저 제어
  • 콘솔 로그 읽기 및 분석
  • UI/UX 테스트 자동화
  • 작동 모습 레코딩 → 버그 확인 → 코드 자동 수정
💡 핵심 기능
구글이 Chrome을 보유하고 있어 브라우저 제어가 매우 자연스럽다. 익스텐션을 통해 에이전트가 브라우저 동작을 녹화하고, 이를 다시 분석하여 버그를 찾고 코드를 수정하는 전 과정이 자동화된다.
⚠️ 주의사항
현재 Chrome만 지원하며, Firefox나 Safari 등 다른 브라우저는 사용할 수 없다. 향후 다른 브라우저도 지원될 것으로 예상된다.

 

말보다 실습이 더 와닿을 것 이다. 다음과 같이 요청해보자. 브라우저에서 직접 UI를 테스트할 수 있다.

// 브라우저 자동화 요청
"Open localhost:5173 in browser"

 

자연어로 Browser관련 기능을 요청하면 알아서 다음과 같이 Browser 세팅과 관련된 Confirm창이 노출된다. "Setup"을 클릭하여 주자.

 

확장 프로그램 설치 화면으로 이동한다. "Install extension"을 클릭하여 설치하여 주자.

 

 - "chrome에 추가" 클릭 ( 혹시나 하여 링크도 남겨두었다. )

https://chromewebstore.google.com/detail/antigravity-browser-exten/eeijfnjmjelapkebgockoeaadonbchdd

 - "확장 프로그램 추가"를 클릭하면 설치가 완료 되었다.

 

 - 이후 "Agent needs you input" 이라는 메세지가 보이고, 화면이 녹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 이다.

 

 - 다시 안티 그래비티로 돌아가 권한을 허락해 보자.

 

 - 바이브 코딩으로 개발한 React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보이는것을 확인 가능하다.

 

 - Agent가 알아서 스크린샷을 찍고 프로젝트 기동 성공을 확인하는 모습이다.

 

 - 이에 대한 결과를 서머리 해주며, walkthrough.md파일에 내용을 요약해 주었다.

 

 - 결과 (wlakthrough.md)

 

 - gemini에게 Walkthrough라는것이 어떤건지 물어봤으니 참고 하자.

 

Step 4: 디버깅

// 에러 해결 요청
"Check browser console for errors and fix them"

AI가 브라우저 콘솔 로그를 확인하고 에러를 자동으로 수정한다.

위 부분도 너무 내용이 길어질 수 있으니 이번 섹션에서는 직접 사용자분들께서 해보시면 좋을 것 같다. 더 중요한 내용들이 많기에.. 

 

이제야 첫번째 살펴본 "Editor 인터 페이스"가 끝났다. 가볍게 살펴보는건데도 캡쳐하며 써내려가려니 .... ㅠㅠ 

 

2. Agent Manager(에이전트 매니저) : Antigravity의 메인 화면??

Antigravity는 Cursor나 VSCode에서 못보던 다른 기능이 있었다. 에이전트 매니저라는 대시보드가 있다. 여러 프로젝트와 AI 작업을 한눈에 관리하는 중앙 허브 역할을 한다.

 

다음이 에이전트 매니저의 기본 화면이다.

💡 Agent Manager의 용도
Agent Manager에서는 심층 리서치, 장기 프로젝트, 백그라운드 작업 같은 태스크를 에이전트에게 맡길 수 있다.
Inbox에서 여러 에이전트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완료되면 결과를 리뷰하면 된다.

 

Agent Manager 사이드바 구성

  • Inbox: 모든 에이전트 작업 알림. 진행 상황 모니터링 및 완료된 작업 리뷰
  • + Start conversation: 새로운 에이전트 대화 시작
  • Workspaces: 등록한 프로젝트 폴더들. 각 워크스페이스 옆 + 버튼으로 에이전트 추가
  • + Open Workspace: 새 워크스페이스(폴더) 등록
  • Playground: 폴더 없이 빠른 프로토타이핑 테스트
  • Knowledge: 에이전트 학습 데이터 관리
  • Browser: 브라우저 연동 설정
  • Settings: 환경 설정
  • Provide Feedback: 피드백 제출

Knowledge 기능 상세

Knowledge 메뉴는 에이전트의 학습 데이터를 관리하는 곳이다.

  • 자동 수집: 작업 중 생성된 코드 스니펫, 태스크 리스트가 자동 저장
  • 스타일 학습: 시간이 지나면서 팀의 코딩 컨벤션과 패턴을 학습
  • 컨텍스트 활용: 새 작업 시 이전 학습 내용을 참고하여 더 정확한 코드 생성
  • 수동 관리: 불필요한 학습 데이터 삭제, 중요 패턴 우선순위 조정 가능

→ Cursor의 .cursorrules와 달리 명시적 규칙 작성 없이도 자동으로 팀 스타일에 맞춰진다.

Playground 기능

Playground는 워크스페이스(폴더) 없이 에이전트와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는 공간이다.

Playground 활용 시나리오

  • 빠른 프로토타이핑: 새 프로젝트 시작 전 기술 스택 검토, 라이브러리 테스트
  • 코드 스니펫 생성: 특정 알고리즘, 유틸 함수 등을 빠르게 생성해서 복사
  • 아이디어 검증: "이런 기능이 가능할까?" 같은 탐색적 질문
  • 학습 및 실험: 새로운 프레임워크나 API 사용법을 실험
  • 일회성 작업: JSON 변환, 정규식 생성 등 프로젝트에 저장할 필요 없는 작업
구분 Workspace Playground
폴더 연결 필수 (로컬 프로젝트) 불필요
파일 생성/수정 실제 파일에 반영 임시 (복사하여 사용)
용도 실제 프로젝트 개발 빠른 테스트, 실험
컨텍스트 프로젝트 파일 전체 대화 내용만
💡 개발자 팁
Playground에서 만든 코드가 마음에 들면 → 워크스페이스로 이동해서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워크플로우가 효과적이다. 부담 없이 실험하고, 검증된 코드만 프로젝트에 반영할 수 있다.

 

여기서 시작 지점이 되는것이 WorkSpace 일 것 같다. 

위의 캡쳐와 같이 빈 프로젝트에서 시작할수도 있지만, 내 블로그랑 동일하게 진행했다면 하나의 workspace가 열려 있을 것 이다.

 

그리고 해당 Workspace를 클릭해보면 내가 작업했던 내용이 그대로 노출될 것 이다.

 

즉, 워크스페이스는 로컬 폴더를 Antigravity에 등록한 것이고, 여러 워크 스페이스를 생성도 가능하다. 핵심은 각 워크스페이스마다 AI가 독립적으로 작업한다는 점이다. 이로써 병렬 작업이 가능하다.

 

두번째 Workspace를 만들어보자.

 - Open Workspace > Open New Workspace

 

 - "god-dae-hee-chatbot"이라는 폴더를 생성하여 열어 보았다. 2개의 Workspace가 된것을 볼 수 있다. 

 - "god-dae-hee-chatbot" Workspace 우측의 + 버튼을 클릭 > "Focus Editor를 클릭해보자.

 

 - 신규 Workspace의 에디터 화면으로 전환되는것을 볼 수 있다.

 

 - 이제부터 병렬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간단한 chatbot Python Web UI를 생성해달라고 요청해보겠다.

 

- 작업이 한참 진행되는 도중 "Open Agent Manager"를 클릭하여 "Agent Manager"창으로 전환해보자. 

 

 - "Inbox"에 새로운 알람(1)이 표기 되어 있다. 클릭해보자.

 - "Workspace" 별 작업내역과, 사용자의 허락을 대기하고있는 작업이 보일 것 이다. 여기서 "Proceed"를 클릭하여 진행해보자. 작업이 계속 진행되는것을 볼 수 있다.

 

 - 이번엔 "Start conversation"을 클릭하여 새 에이전트와 대화를 시작해보자. > Next 클릭

 

 - 새로운 Agent와 대화가 가능한데, 기존 예시에서는 각각의 "Workspace Editor"화면에서 대화를 시작하였지만, 해당 Agent Manager 모드에서 바로바로 다른 Workspace로 전환하여 바이브 코딩을 진행할 수도 있다. 

 

 - 다음과 같이 이전에 만들었던 React 프로젝트 소스 검증을 요청하였다. 

 

 - 즉, Agent Manager 인터페이스에서는 2가지 Agent가 각각 일하고 있다. 병렬 처리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비동기 병렬 작업 예시

두 개의 워크스페이스를 만들고 동시에 작업을 요청하면:

  1. 블로그 워크스페이스: "해당 프로젝트 검증 요청" → AI가 프로젝트 검증 진행 중
  2. 챗봇 워크스페이스: "챗봇 개발 플랜 요청" → AI가 챗봇 개발을 위한 계획을 수립 중 

→ 두개의 작업이 동시에 병렬로 진행되며, 인박스에서 각 작업의 진행 상황과 완료 알림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이 에이전트 매니저(Agent Manager)가 Cursor, WindSurf, Kiro 등과 비교했을 때 Antigravity의 가장 큰 차별화 포인트다. 물론 아직 버그가 있어 답답한 부분도 느껴진다.

그래도 결국 최종적으로 구글이 뭔가 해낼 것 같았는데, 이번 Gemini 3.0 출시로 인해 혁신이라는 것을 이뤄 내고있음을 느낄 수 있었고, 나도 Google 주식을 사야하지 않나라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 잠깐 Playground 기능도 언급하자면, Workspace에 종속되지 않고 해보고 싶은 것들을 바로바로 해본 후 임시경로에 파일도 생성하고 작업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간단 간단한 아이디어 증며이라던지, 편하게 작업을 시작한 후 최종 적용이 필요한 경우 그때 적용하면 되니, 이또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할 것 같다.

 

ex) 갑자기 게임이 만들고 싶은데 될까???????? 라는 걸 Conceptual 하게 만들어보자.

 - 이번에는 간단한 작업이라고 보고 이번 요청사항은 계획만 세우지 않고, 자체 판단하게 실제 구현까지 완료 하였다. 내용만 참고차 캡쳐 해 두었다.

 

- 플랜을 세웠다. 다만 간단한 작업으로 판단하고 바로 수행하는 모습이다.

1초 동안 생각했다 Analyzed ~/gemini/antigravity/playground/icy-crab 권장
8초 동안 생각한다 수정할 → 작업 (보기) 수정함 → 구현 계획 (보기)

HTML5 Canvas를 사용하여 팩맨 게임을 빌드하기 위한 계획을 작성했습니다.
구현 계획서를 검토해주세요.

구현 구현 계획 기술 스택을 사용하여 팩맨 게임 구현 - 기술 스택: HTML5,
CSS3, Vanilla JavaScript(Canvas API), 주요 구성 요소: 게임 루프, 미로
렌더링, 엔티티 시스템(팩맨, 유령), 충돌 감지: 이동, 충돌 및 게임 상태
수동 테스트.

구현 계획이 적당함 함께 진행했습니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에이전트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상기 계획의 결과 내용이다.

## Project Setup
Pac-Man 게임 개발 시작. 승인된 계획이 준비됨.
**Files Edited**
- Task
- script.js
- style.css
- index.html
**Progress Updates**
- 초기 프로젝트 파일 생성 (index.html, style.css, script.js)
## Core Game Engine
프로젝트 설정 완료. index.html, style.css, script.js 생성됨. 이제 코어 엔진 구현으로 이동.
**Files Edited**
- Task
- script.js
**Progress Updates**
- 미로 레이아웃 및 렌더링 로직 구현
## Pac-Man Implementation
코어 엔진과 미로 렌더링 완료. 이제 Pac-Man 캐릭터 제어 및 상호작용 구현 단계.
**Files Edited**
- Task
- script.js
**Progress Updates**
- Pac-Man 엔티티, 이동, 충돌 로직 구현
## Ghost Implementation (1)
Pac-Man 구현 완료. 이제 유령 추가 및 기본 AI, 충돌 감지 구현.
**Files Edited**
- Task
- script.js
**Progress Updates**
- 유령 엔티티, AI, 충돌 로직 구현
## Ghost Implementation (2)
Pac-Man 구현 완료. 유령 추가 및 기본 AI, 충돌 감지 구현 (중복 섹션으로 보임).
**Files Edited**
- Task
- script.js
**Progress Updates**
- 유령 엔티티, AI, 충돌 로직 구현
## Game Logic & Polish
유령과 충돌 로직 구현 완료. 게임 로직 마무리 및 다듬기 작업.
**Files Edited**
- Walkthrough
- Task
- script.js
**Progress Updates**
- 문법 오류 수정 및 게임 로직 검증
## Final Output
Pac-Man 게임 빌드 완료! index.html을 열면 플레이 가능. 자세한 내용은 walkthrough 참고.
**Files**
- index.html
- script.js
- style.css
- Walkthrough
**Walkthrough Description**
Pac-Man 게임 구현 개요
- 특징: 클래식 미로, Pac-Man 제어, 4개의 Ghost, 점수 시스템, 승리/패배 상태
- 기술: HTML5 Canvas, Vanilla JS
- 검증: 수동 게임플레이 테스트​

 

4가지 핵심 설계 원칙

위의 특징들은 다음 4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1. Trust (신뢰): 작업 단위로 맥락을 제공하고, 검증 결과와 산출물을 함께 제시하여 AI의 행동을 투명하게 보여준다.
  2. Autonomy (자율성): 개발자가 세부 사항을 일일이 지시하지 않아도 AI가 스스로 판단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3. Feedback (피드백): 작업 결과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4. Self-improvement (자기개선):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더 나은 제안을 제공한다.

 

사용 제한 및 가격

Antigravity는 무료로 제공되며, Gemini 3 Pro 사용에 대한 관대한 사용 제한이 적용된다.

사용 제한은 5시간마다 갱신되며, Google에 따르면 "극소수의 파워 유저"만이 일반적인 작업 중에 제한에 도달한다고 한다.

 

개인적인 생각) 지금 어느정도 Cursor가 비싸고, 클로드 구독의 비용 부담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을텐데 .... 

( 나또한 클로드 Max, Gemini, GPT, 이외 AI툴, 서버비용 등등 구독료로 나가는 비용이 상당히 크다)

이럴때 미친듯이 사용 해보면 좋지 않을까? 언제까지 이렇게 제공해줄지 모르지만 잠깐 구독을 쉬어가실분들은 쉬어 가셔도 되지 않을까 싶다. 

4.5 sonnet이 나온 이후 사실 Opus모델은 잘 사용하지 않고 있는데, Antigravity를 통해 뭐든지 다 해볼수 있게 구글이 노린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라면 댓글남겨주시면 정정 하도록 하겠다.

  

AI 에이전트 동작 커스터마이징

Antigravity는 Cursor의 .cursorrules와 다른 방식으로 에이전트 동작을 커스터마이징한다.

공식 커스터마이징 방법

Antigravity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에이전트를 커스터마이징한다:

  • 설치 시 자율성 레벨 선택: 완전 자율 모드 vs Agent-assisted 모드 (권한 요청 빈도 조절)
  • 아티팩트 코멘트: 에이전트가 생성한 코드에 Google Docs 스타일 코멘트로 피드백
  • 스크린샷 피드백: 에이전트가 보여주는 스크린샷에 직접 피드백 제공
  • 자동 학습: 시간이 지나면서 팀의 코딩 스타일과 프로젝트 컨벤션을 학습
💡 학습 시스템
Antigravity는 이전 작업의 코드 스니펫과 태스크 리스트를 내부 knowledge base에 저장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팀의 "개발 스타일"을 학습해 생성 코드가 점점 팀 코드와 유사해진다.

 

ex) 기본 대화언어가 자주 영문으로 노출되어 일단 나의 경우 임시 방편으로 한글설정을 사용하고있다. 

 - 공식 가이드나,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꼭 공유해주시면 너무 감사합니다... 

 - ㅠㅠ 블로그 작성시 특히 번역해서 글을 작성하다보니.. 불편하네요 ㅠ 

 

 

 - 난 임시로 다음과 같은 Rules를 추가하여 사용하고있다. ( 프로젝트 별로 설정하거나 글로벌로 설정 가능 하다. )

 

ex) Global 설정 (내가 현재 상용하는 방법 )

 - 나처럼 열리지 않는다면 보통은 다음 경로에 있을 것 이다.

 - 경로 : /Users/lf/.gemini/GEMINI.md

 - 다음과 같은식으로 내용을 추가하였다.

# Output Language
All Output Language : Always respond in Korean (한국어). Even if the user asks in English or the context is technical, provide explanations in Korean unless explicitly requested otherwise.

 

 -이후 대화시 꽤나 잘 먹는것 같다. 

 

 - 또는 해당 프로젝트별로 설정도 가능하다. 하기 RULES.md 파일 또는 원하는 파일명의 .md 파일을 생성하여 다음과 같은 경로에 생성하거나, + Workspace 버튼을 클릭하여 생성하자.

 

 

하기 내용은  내가 처음에 방황할때 자연어로 요청해보았는데, 아직 공식 레퍼런스가 없거나 잘 못찾는지 방황 했던 이력이다.

ex) 자연어로 Gemini 3.0 Pro모델을 통해 Global설정 요청에 대해 질의 해보았다.

  - 설정에 대한 문의

 

 - 생성된 RULES.md 파일

# Antigravity Agent Rules
    
    1. **Language**: Always respond in Korean (한국어). Even if the user asks in English or the context is technical, provide explanations in Korean unless explicitly requested otherwise.
    2. **Tone**: Maintain a helpful, professional, and friendly tone (Goddaehee style if applicable).

 

 - 해당 이력은 곧 삭제할 예정입니다. ㅎㅎㅎ 

 

 

Agent Settings

한글 설정을 하다보니 Agent Mode에서의 기본 설정값에 대해서도 살펴보면 좋을 것 같아서 간단히 정리해보았다.

Settings → Agent 메뉴에서 에이전트의 세부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각 설정의 의미와 권장 값을 알아보자.

 

 - 하기 내용은 언제든지 바뀔수 있다. (11월 20일 캡쳐본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ARTIFACT 설정

Review Policy: 에이전트가 생성한 아티팩트(계획, 코드 등)를 리뷰할지 결정

  • Always Proceed: 리뷰 없이 항상 진행 (빠른 작업용)
  • Agent Decides: 에이전트가 상황에 따라 리뷰 요청 여부 판단 [권장]
  • Request Review: 항상 리뷰 요청 (신중한 작업용)

TERMINAL 설정

Terminal Command Auto Execution: 터미널 명령어 자동 실행 정책

  • Off: 자동 실행 안 함 (Allow List 제외). 가장 안전
  • Auto: 에이전트가 명령어별로 실행 여부 판단 [권장]
  • Turbo: 항상 자동 실행 (Deny List 제외). 가장 빠름, 주의 필요

Allow/Deny List Terminal Commands

  • Allow List: Off 모드에서도 자동 실행을 허용할 명령어 등록
  • Deny List: Turbo 모드에서도 확인을 요구할 위험 명령어 등록 (예: rm -rf)

FILE ACCESS 설정

  • Agent Gitignore Access: .gitignore에 있는 파일 접근 허용 (민감 파일 주의)
  • Agent Non-Workspace File Access: 워크스페이스 외부 파일 접근 허용 (보안상 OFF 권장)
  • Auto-Open Edited Files: 에이전트가 수정한 파일 자동으로 열기 [ON 권장]

AUTOMATION 설정

  • Agent Auto-Fix Lints: 에이전트가 생성한 코드의 린트 에러를 자동 수정 [ON 권장]
  • Auto-Continue: 응답 한도 도달 시 자동으로 계속 진행 (OFF면 수동 확인 필요)

GENERAL 설정

  • Enable Agent Web Tools: 웹 검색 및 URL 읽기 기능 활성화 [ON 권장]
  • Open Agent on Reload: 창 새로고침 시 에이전트 패널 자동 열기

ADVANCED 설정

  • Enable Demo Mode (Beta): 데모용 UI 모드 활성화. 일관된 데모 화면을 위해 UI가 약간 수정된다. 명령어 'Antigravity: Start Demo Mode' / 'Antigravity: Stop Demo Mode'로도 제어 가능하다고 하다 . 이 부분도 조금더 자세한 확인 후 갱신해볼 예정이다 ㅠ...
초보자 권장 설정
처음 사용한다면 Agent-assisted development 프리셋(기본값)을 유지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다.
이 설정은 Terminal: Auto, Review: Agent Decides로 안전성과 생산성의 균형을 맞춘다.
익숙해지면 Turbo 모드로 전환하여 더 빠른 개발이 가능하다.

 

활용 팁

Antigravity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실전 팁들이다.

크레딧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 Plan 모드 먼저: 복잡한 작업은 Plan 모드로 계획 확인 후 Fast 모드로 구현
  • 명확한 프롬프트: 모호한 요청은 여러 번 재시도하게 되므로 구체적으로 작성
  • 작업 분할: 대규모 작업은 작은 단위로 나눠서 요청

모드 & 모델 선택 가이드

  • Plan 모드: 복잡한 기능 구현, 아키텍처 설계, 코드 리뷰가 필요한 작업
  • Fast 모드: 간단한 버그 수정, 스타일 변경, 빠른 프로토타이핑
  • Gemini 3 Pro: 대부분의 작업에 적합, 균형 잡힌 성능
  • Claude Sonnet: 복잡한 로직, 긴 컨텍스트가 필요한 작업
⚡ 병렬 작업 활용 팁
Agent Manager에서 여러 워크스페이스를 활용하면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예: 워크스페이스 A에서 리팩토링 진행 중 → 워크스페이스 B에서 테스트 코드 작성 → Inbox에서 양쪽 진행 상황 모니터링

 

한계점 및 알려진 이슈

주요 한계점
  • 크레딧 제한: 무료 프리뷰 특성상 사용량 제한 (위의 실전 팁 참고)
  • Chrome만 지원: Firefox, Safari 등 타 브라우저 사용 불가
  • 프론트엔드 편향: 핵심 기능이 프론트엔드에 최적화
OAuth 로그인 문제 해결법
• 브라우저 캐시 및 쿠키 삭제 후 재시도
• 시크릿/프라이빗 모드에서 로그인 시도
• VPN 사용 중이라면 일시 비활성화
확장 프로그램 설치 오류 해결법
• Antigravity 재시작 후 재시도
• 확장 프로그램 마켓플레이스에서 직접 검색하여 설치

 

자주 묻는 질문 ❓

Q: 어떤 AI 모델을 선택해야 하나요?
A: Gemini 3 Pro가 기본값이며 대부분의 작업에 적합하다. 복잡한 추론이 필요하면 Claude Sonnet 4.5를, 빠른 응답이 필요하면 GPT-OSS 120B를 선택할 수 있다. 각 모델의 실제 성능 차이는 직접 테스트해보는 것을 권장한다.
Q: Cursor에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나요?
A: 둘 다 VSCode 기반이므로 확장 프로그램, 키맵, 테마는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 다만 .cursorrules 같은 설정 파일은 공식 지원되지 않으며, 피드백 시스템과 자동 학습을 통해 에이전트를 커스터마이징한다. 자세한 내용은 'AI 에이전트 동작 커스터마이징' 섹션을 참고하자.

 

Cursor vs Antigravity 비교

많은 개발자가 궁금해하는 Cursor와의 직접 비교다.

항목 Cursor Antigravity
가격 $20/월 (Pro) 무료 (프리뷰)
병렬 에이전트 제한적 (Composer) 완전 지원 (Agent Manager)
브라우저 통합 없음 Chrome 완전 통합
기본 모델 Claude Sonnet Gemini 3 Pro
커스터마이징 .cursorrules 파일 자동 스타일 학습
강점 안정성, 생태계 브라우저 통합, 병렬 작업

 

결론: 써볼 만한가?

Antigravity는 매력적인 도구다. 브라우저 통합 기능(Chrome은 결국 구글 것이니 자연스러운 통합이 가능하다), Gemini 3 Pro의 성능을 무료로 체험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다만 아직 프리뷰 단계인 만큼 크레딧 소진 문제, 일부 버그, 결제 경로 부재 등의 한계가 있다. Cursor를 완전히 대체하기보다는, 두 도구를 병행 사용하면서 각자의 장점을 활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이번글은 간단히 작성하려다 자꾸 욕심이 나서 덕지 덕지 내용을 추가하다보니............

글의 가독성이 매우 떨어질 것 같다. 그래도 여기까지 읽어주신분들께 감사합니다.  

 

 

 

 

 

 

 

 

 

 

300x250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

💡 AI 관련 질문이 있나요? 눌러보세요!